본문 시작
세저리 이야기
경칭에 대하여
- 관리자
- 조회 : 2803
- 등록일 : 2012-03-14
<단비뉴스> 편집카페에 경칭과 관련한 질문이 있어 여기 답한다. (<세저리뉴스> 초대 편집국장, 홍담이 한산한 <세저리뉴스>를 안타까워하며 글을 남긴 정성도 갸륵하고, 발행인으로서 경쟁지에 이적행위를 할 수도 없어 앞으로 중요한 글은 단비카페가 아니라 여기에 남길 예정. 홍담은 창간 초기 혼자서 거의 매일 <세저리뉴스>를 썼는데 그렇게 닦은 필력으로 언론사에 합격했음.)
호칭은 대개 경칭을 쓰는 게 좋다, 심지어 손아랫사람에게도. 우리말은 경칭과 경어법이 유난히 발달한 언어여서 한국어를 배우려는 외국인들을 좌절하게 한다. 중국과 일본에도 경칭이 꽤 있는데 유교문화의 영향과 신분사회의 한 단면이 아닐까 생각한다. 그러나 신문이나 방송에서 관행적으로 써온 일종의 "신문문법"과 "방송문법"이란 게 있다. 여러분이 익혀두면 좋은 것들을 생각나는 대로 적어 본다.
연예인이나 스포츠선수처럼 대중적 공인이나 역사적 인물, 흉악범, 외국인 등에는 경칭을 붙이지 않는 게 일반적이다. 양준혁이 아무리 나이가 많다 한들 신문이나 스포츠중계에서 "양준혁씨 삼진아웃"이라고 하면 얼마나 웃기냐. 그러나 연예인일지라도 경칭이 자연스러울 때는 붙이는 게 좋다. 예컨대 원로가수 김정구 정도라면 ""눈물 젖은 두만강"을 부른 김정구 선생"이라고 쓰는 게 자연스럽다.
흉악범에 대해서도 논란이 있다. 흉악범도 무죄추정원칙에 따라 "씨" 같은 경칭을 붙여야 한다는 주장이 그것이다. 그러나 언어는 관습이고 관습에는 늘 예외가 존재한다. 예외도 관습이라는 얘기지. 직책으로 경칭을 표현하기도 하는데, 그러면 "도둑놈"은 "도둑님"이 되어야 하나?
외국인에 대해서도 논란이 있다. 언젠가 시민편집인실에도, 귀화해서 이젠 한국인이 된 사람의 부인이 "자기 남편에게만 모두들 경칭을 쓰지 않아 불쾌하다"는 고충을 털어놓으며, <한겨레>가 "외국인에게도 경칭을 붙이자"는 캠페인을 벌여달라고 한 적이 있다. 이에 대해서는 얼마 전 한글학회 이사이면서 <한겨레> 교열부장이던 최인호 씨가 쓴 아래 답변으로 대신한다.
--------------------------------------------------------------------------------------------------------------------
한국어에서 존칭이나 경칭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특히 성인 이름에 붙여 경의를 나타내는 데 쓰는 말로는 ‘님’이나 ‘씨’가 대표적입니다. 이것말고도 ‘군’ ‘양’ ‘각하’ ‘귀하’ ‘선생’ ‘옹’ ‘여사’ 등 여럿이 있는데, 이 가운데 몇몇은 중국이나 일본 쪽에서도 꽤 쓰고 있는 줄 압니다. 이런 현상은 세 나라 공통적으로 나이, 성별, 신분 등을 중시한 까닭에 말도 여기 맞추어 발달한 결과일 것입니다. 요즘 그 엄격함이 많이 사라졌으나 개인 사이에서는 꽤 지켜 쓰고 있지요. 영어 등 서양말에도 ‘미스’ ‘미스터’ ‘닥터’ 등이 있지만 동양처럼 발달되지 않은 상태인 줄 압니다.
원래, 불특정 다중이 읽는 신문기사에서는 통상의 경어법을 적용하지 않고 ‘해라체’(평교형)를 쓰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아울러 개인 사이에도 제3자를 얘기할 때는 특별한 경칭을 붙이지 않고 쓸 때가 많습니다. 내외국인, 남녀노소, 신분을 가리지 않지요. <한겨레>에서는 외국인 이름에 ‘씨’를 붙여 적지 않고, 직함이 있으면 그 직함을 이름 뒤에 적어주는 데 그칩니다. 이는 특별히 차별을 하기보다는 ‘씨’를 붙여 써서 거둘 실효성이 별로 없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이를 써서 당사자의 격이 크게 높아지거나 높이는 효과가 별로 없다는 뜻입니다. 내국인들에게도 이를 적용할 법하나 신문 등에서 상당히 굳어져 아직 실천하지 못하고 있을 뿐이지요.
실제로는 혼란스럽고 비경제적이라는 점이 무시할 수 없는 연유입니다. 외국인들의 이름과 한국어의 존칭 ‘씨’가 뜻·소리·글자 적기에서 물과 불처럼 어울리지 않는다는 말입니다. 도요토미 히데요시씨, 다네다 마코토씨, 토마스 만씨, 조지 부시씨, 오사마 빈 라덴씨, 니콜라이 야코블레비치씨, 콘스탄틴 다스칼레스쿠씨… 처럼 되어 이름인지 경칭인지 헷갈리거니와 글자수도 늘어나 거추장스러울 때가 많습니다. 이는 띄어쓰기를 해도 마찬가집니다.
- 이전세저리뉴스
- 다음 [세저리뉴스]동안은 바람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