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조메뉴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국제적 감각과 경영마인드를 겸비한 수준 높은 부동산 전문가 양성부동산지적학과

본문 시작

부동산 뉴스

"이게 말이 되나"…지난 5년간 소득 14% 늘때 집값 52% 뛰었다

  • 부동산학과
  • 조회 : 1856
  • 등록일 : 2021-07-27

"이게 말이 되나"…지난 5년간 소득 14% 늘때 집값 52% 뛰었다

최근 5년 간 가구소득 14% 늘 때
주택 시가총액 52% 급등

잠실 주공 5단지 모습 [매경DB]
사진설명잠실 주공 5단지 모습 [매경DB]
부동산 가격 급등에 따른 자산 양극화가 갈수록 심화하고 있다. 소득이 찔끔 오르는 동안 주택, 토지 등 부동산 가격만 천정부지 치솟고 있어서다. 국민 경제 규모가 커지면 자산이 증가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부동산발(發) 불로소득자가 속출하면서 부동산이 없는 국민들은 "졸지에 벼락거지 됐다"며 박탈감을 호소하고 있다.

2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지난해 국민대차대조표에 따르면, 가구당 순자산은 2015년 말 3억8515만원에서 작년 말 5억1220만원으로 32.9%(1억2705만원) 증가했다. 이에 비해 이전 5년간 가계 순자산은 3억3045만원에서 3억8515만원으로 16.5%(5470만원) 느는데 그쳤다. 증가율만 놓고 보면 2배 가까이 차이가 난다.

최근 5년간 가구 자산이 크게 증가한 이유는 부동산 가격 급등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국민대차대조표상 가계와 비영리단체의 총자산에서 부동산 비율은 62.2%였지만, 통계청의 작년 가계금융복지조사에서 가구 자산의 부동산 비율은 71.7%였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부동산(건설자산+토지자산) 시가총액은 지난해 말 7791조원으로 2015년 5440조원보다 43.2%(2351조원) 증가했다. 이전 5년간의 증가율 21.8%(974조원)보다 배 이상 높다.

주거용 건물과 주거용건물 부속 토지 시가를 합한 가계의 주택 시가총액 변화도 이런 흐름과 유사하다.

작년 말 기준 가계의 주택 시가총액은 015년의 3521조원보다 51.7%(1823조원) 늘은 5344조원이다. 이전 5년간의 증가율 25%(706조원)보다 증가율은 배, 증가액은 2.58배에 이른다.

반면, 소득 증가는 더뎠다.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 작년 가구당 경상소득은 5924만원이었고, 지난 2015년은 약 5197만원으로 추정된다. 최근 5년간 가구당 경상소득이 13.9%(727만원) 증가한 셈이다.

부동산 가격 급등으로 자산 가격이 급격히 증가한 반면, 이를 처분하기 전까지 벌어들인 소득으로 자산 불리기가 어려워지자 가계는 아파트, 주식 등에 적극 투자하는 모습이다.

작년 말 현재 금융기관의 가계대출 잔액은 1631조원으로 2015년 말(1137조원)보다 43.4%(494조원), 2010년 말(793조원)보다 838조원이 늘었다.

업계와 학계 전문가들은 이같은 비정상적인 구조로 인해 자산 양극화는 갈수록 심화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한다. 더딘 소득 증가 속도로 빚을 내 부동산에 투자한 가계는 자산 증가의 과실을 얻었지만, 투자가 어려운 무주택자나 저소득층은 자산을 늘리기는 커녕 임대시장에서도 내몰리는 처지가 됐다.

다만, 빚을 내 자산을 불린 가계라도 좋아할 수만은 없다. 부동산 가격이 내려가거나 금리가 오를 경우 위험은 높아지기 때문이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자산이 증가하는 것은 부동산의 부가가치가 높아졌다고 볼 수 있지만, 경제가 침체한 상황에서 유동성으로 부동산 가격이 올라 자산이 느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면서 "부채를 일으켜 부동산에 투자하고, 이로 인해 자산이 증가할 경우 금리 상승 등의 긴축기에는 가계의 부담 증가로 경제에 악재가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김진방 인하대 경제학과 교수도 "국민 자산이 증가한 것 자체는 좋은 것이지만, 버블 붕괴 등으로 자산 가치가 하락할 땐 문제가 될 수 있다"면서 "게다가 자산 쏠림으로 인한 양극화 심화는 사회경제적 부담 요인이 돼가고 있다"고 말했다.

  • 담당부서 : 부동산지적학과
  • 담당자 : 권기욱
  • 연락처 : 043-649-1369
  • 최종수정일 : 2024-10-26
만족도조사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시나요?